티스토리 뷰
최근 간편 결제 시장에서 결제수수료가 인하되고 있는 가운데, 가장 높은 수수료율을 기록한 곳은 배달의민족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 핀테크산업협회가 발표한 최신 자료에 따르면 주요 간편 결제 업체들의 가드 결제 수수료율과 선불전자지급수단 수수료율이 전반적으로 소폭 인하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요 간편 결제 업체들의 수수료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어떤 업체의 수수료가 높은지, 가장 유리한 결제 수단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배달의민족, 카드 결제 수수료율 최고치 기록
지난해 하반기 결제 수수료가 인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배달의민족(우아한형제들)의 카드 결제 수수료율이 여전히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 배달의 민족 카드 결제 수수료율
가맹점 규모에 따라 1.50% ~ 3.00% - 선불전자지급수단 수수료율
모든 가맹점에서 3.00%
특히 배달의민족은 카드 결제 수수료율의 상단이 3%로 다른 경쟁사 대비 가장 높았습니다. 선불전자지급수단 수수료율 역시 3%로, 주요 경쟁사 대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주요 간편 결제 업체 수수료 현황 비교
간편 결제 업계에서 배달의민족 외에도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등 주요 플랫폼들이 서로 다른 결제 수수료 구조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간편 결제 업체들의 수수료율을 비교한 내용입니다.
간편결제사 | 카드 결제 수수료율 | 선불전자지급수단 수수료율 |
배달의민족 | 1.50% ~ 3.00% | 3.00% |
네이버페이 | 0.81% ~ 2.22% | 0.87% ~ 2.13% |
카카오페이 | 0.56% ~ 1.94% | 0.72% ~ 1.99% |
토스 | 0.70% ~ 1.97% | 1.01% ~ 1.79% |
11번가 | 1.20% ~ 2.10% | 1.50% ~ 2.00% |
쿠팡페이 | 1.00% ~ 2.30% | 1.00% ~ 2.10% |
지마켓 | 1.00% ~ 2.20% | 1.20% ~ 2.30% |
SSG닷컴 | 1.10% ~ 2.40% | 1.30% ~ 2.20% |
NHN페이코 | 0.90% ~ 2.30% | 1.00% ~ 2.10% |
KG이니시스 | 0.80% ~ 2.40% | 1.00% ~ 2.10% |
토스페이먼츠 | 0.70% ~ 2.10% | 1.00% ~ 2.00% |
평균 수수료율
- 카드 결제 수수료율 평균: 1.60%
- 선불전자지급수단 수수료율 평균: 2.02%
결제 수수료 인하 추세
핀테크 산업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카드 및 선불전자지급수단 수수료율은 전반적으로 인하되고 있습니다.
- 카드 결제 수수료율: 전년 대비 평균 0.06%포인트 인하
- 선불전자지급수단 수수료율: 전년 대비 평균 0.08% 포인트 인하
하지만 배달의민족의 경우 상단 기준 카드 수수료율이 3.00%로 여전히 다른 업체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배달 시장의 독점적 구조와 높은 시장 점유율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가장유리한 간편결제는 어디일까?
1. 카드 수수료가 가장 낮은 곳
→ 카카오페이 (최저 0.56%)
2. 선불전자지급수단 수수료가 가장 낮은 곳
→ 카카오페이 (최저 0.72%)
3. 평균적으로 낮은 결제 수수료율
→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가 상대적으로 유리
결제 수수료 인하 경쟁 - 소비자에게 유리한 환경
간편 결제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주요 업체들은 결제 수수료 인하를 통해 가맹점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도 결제 수수료율이 지속적으로 인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배달의민족은 시장 점유율이 높아 여진히 높은 수수료율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와 소상공인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 배달의민족은 여전히 부담,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페이가 유리
배달의민족은 여전히 높은 결제 수수료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소상공인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페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수료율을 제공하고 있어 가맹점 입장에서 더 유리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소비자와 가맹점 모두에게 유리한 결제 수단 선택이 필요합니다. 결제 수수료율은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합리적인 결제 수단을 선택해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경제 포스팅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개혁, 2025년 여야 합의로 확정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43%) (0) | 2025.04.01 |
---|---|
금리 인하 시기 투자 전략 성장주, 부동산, 채권 (0) | 2025.03.12 |
2025년 부산 소비자물가 전망 및 분석 (0) | 2025.03.06 |
중요수당 포함제, 계산 방법 완벽 가이드 (0) | 2024.12.19 |
통상임금 평균임금 차이와 계산 방법 계산기 (0)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