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주식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마주하는 궁금증 중 하나가 바로
"체결기준과 결제기준이 뭐가 다를까?",
그리고 "나는 수익을 어떤 기준으로 봐야 할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식 체결일과 결제일의 개념 차이,
그리고 수익률 판단 기준까지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
체결기준이란?
주식 거래가 실제로 체결된 날짜 (= 거래가 성사된 날)
즉, 우리가 주문을 넣고 "체결 완료"된 그 날짜를 뜻합니다.
- 예시: 4월 25일에 삼성전자 100주를 매수했다면
체결일 = 4월 25일
MTS/HTS에서 표시되는 대부분의 수익률, 매입가 등은 체결기준으로 보여집니다.
결제기준이란?
체결 후 실제로 돈과 주식이 교환되는 날짜 (=결제일)
현재 한국 주식 시장에서는 체결일 ÷ 2 영업일(T+2) 후에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 예시: 4월 25일 체결 → 결제일 = 4월 29일
이 날짜를 기준으로 내가 실제로 주식을 보유하게 되며,
세금, 배당, 보유 종목 평가 등도 결제기준이 기준이 됩니다.
체결기준 vs 결제기준 간단 비교
항목 | 체결기준 | 결제기준 |
기준일 | 거래가 체결된 날 | 실제 자산이 이동되는 날 |
MTS 수익률 계산 | O 사용됨 | X 사용 안됨 |
실제 주식 보유일 | X | O |
양도세/배당 적용 | X | O |
예수금 증감 반영 | X | O |
수익률은 어떤 기준으로 판단할까?
정답: 체결기준
- 내가 실제로 매수한 가격,
- 그로부터 얼마나 올랐는지,
- 현재 자산이 얼마인지 확인할 때는
모두 체결기준으로 판단합니다.
하지만, 아래의 경우는 결제기준이 기준입니다.
- 배당 기준일
- 양도소득세 계산일
- 보유자산 기준일
투자 실전 팁: 꼭 기억하세요!
1. 수익 계산은 체결기준으로 본다.
2. 배당받을 때는 결제기준 확인!
(배당기준일 전에 샀어도 T+2일 이후면 배당 못 받음)
3. 급전 필요할 때는 결제일 기준으로 현금화 가능 시점 계산
관련 포스팅 글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런 버핏 포트폴리오 따라하기 13F 보고서로 확인한 최근 매수 종목은? (0) | 2025.04.21 |
---|---|
미국 주식 반대매매 뜻과 예방법 마진콜 피하는 꿀팁 정리 (0) | 2025.04.14 |
배당주 소액투자 추천주 TOP 5 매수 시기 (0) | 2025.04.13 |
월급날 주식 사는 법 자동매수로 부자 되는 투자 습관 만들기 (0) | 2025.04.12 |
직장인 소액 주식 투자 100만 원 굴리는 안전한 방법 (0)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