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공무원 생활의 장점 중 하나는 안정적인 복지와 수당 제도입니다. 그중에서도 장기근속수당은 오랜 기간 성실히 근무한 공무원에게 주어지는 근속 보상의 일종으로, 실질적인 급여 외의 혜택으로 꼽힙니다. 이 글에서는 장기근속수당의 기준, 금액, 지급 시기 등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해 드릴게요.

장기근속수당

목차

    장기근속수당이란?

    장기근속수당은 일정 기간 이상 공무원으로 재직한 사람에게 근속 연수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성실한 근무와 장기 재직을 장려하는 목적이며, 공무원의 사기를 높이고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역할도 합니다.

    지급 기준은?

    근속 기간 지급 기준
    20년 이상 매 5년마다 지급
    25년 이상 매 5년마다 지급
    30년 이상 매 5년 마다 지급
    • 지급 조건: 정규직 공무원으로 20년 이상 계속 근무한 경우
    • 지급 시점: 20년, 25년, 30년, 35년, 40년 근속 시
    • 수당 지급 방식: 해당 근속기간이 도래한 월에 일시금 지급

    장기근속수당 금액은 얼마?

    금액은 일정한 정액으로 책정되어 있으며, 직급이나 직렬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대표적인 일반직 공무원의 경우:

    근속 기간 지급액 (예시)
    20년 약 30만 원
    25년 약 40만 원
    30년 약 50만 원
    35년 약 60만 원
    40년 약 70만 원

    ※ 정확한 지급 금액은 소속기관 및 직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소속 부서의 인사 담당자에게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장기근속수당 지급 예시

    예를 들어, 1999년에 임용된 공무원이 2024년 20년 근속을 달성한 경우,

    • 2024년 근속수당으로 약 30만 원 지급
    • 이후 25년, 30년, 35년이 되는 해에 순차적으로 수당 지급

    주의할 점

    • 육아휴직, 병가 등으로 인한 경력 단절이 있으면 기간 산정에서 제외될 수 있음
    • 비정규직 및 기간제 공무원은 해당되지 않음
    •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무원은 지자체별 조례 기준 적용 가능성 있음

    함께 알아두면 좋은 수당 제도

    • 정근수당: 6개월 이상 근무 시 지급
    • 명절휴가비: 설날과 추석 전 지급
    • 초과근무수당: 시간 외 근무 시 지급

    장기근속수당과 함께 이런 제도들도 챙겨보면 공무원 실수령액이 더 확실해집니다.

    결론: 장기근속수당, 놓치지 말고 챙기세요!

    20년 이상 근속한 공무원이라면 무조건 받을 수 있는 혜택인 만큼, 기간을 채운 시점에서 반드시 인사팀에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은 금액이지만 꾸준히 쌓이면 큰 도움이 되는 실속 수당입니다.

    관련 포스팅

    공무원 정근수당 지급 대상 및 기준 가산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