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주식투자를 하다 보면 내가 투자한 종목, 회사에서 CB를 발행했다는 뉴스를 볼 수 있습니다. 전환사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교환사채(EB) 채권자의 의사에 따라 돈을 빌리는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다른회사 주식 등 유가증권을 상환금 대신 교환할 수 있는 선택권이 부여된 사채입니다. 예) A가 B에게 돈을 빌려 주었습니다. 그런데 B가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A는 빌려준 돈을 받을 수도 있지만 향후 삼성전자 주식이 올라갈 것으로 판단해 돈 대신 주식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계가 교환 사채입니다. A는 돈으로 받을 수도 있고 주식으로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미래의 주식가격 상승에 따른 시세차익의 이점이 있고, 발행회 사는 낮은 이자율로 사채를 발행하여..

주식 방송이나 서적들을 보면 주가희석이라는 단어가 자주 나옵니다. 주가희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주가 희석이란? 간단하게 표현해서 '주가희석 = 주식의 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때문에 주가희석효과라고 표현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2. 주가희석발생 유통주식수가 늘어났을 때 주가 희석이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유상증자와 전환사채(CB)발행이 있습니다. 주가는 기업의 수익을 따라간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리고 회사의 시총은 회사의 가치(시가총액) = 주가 x 상장주식수입니다. 기업의 수익이 그대로라고 하였을 때 = 회사의 가치가 변동 없음 주식이 늘어나면(상장주식수 증가) 일시적으로 시총이 증가하게 되나 다시 원래의 가치를 되찾아 가면서 주가가 떨어지게 되는 원리 유상증자나, 전환사채 ..

주식 투자들을 요즘 많이 합니다. 주식 투자는 리스크가 큰 만큼 큰돈을 벌 수도 있지만 그만큼 크게 잃을 수도 있습니다. 주식 투자를 잘하기 위한 7가지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기본적인 주식 지식 어떤 일이든 기본적인 지식은 필요합니다. 주식 투자 또한 지식과 이해가 필요합니다. 내가 투자하려는 기업의 재무 상태, 성장 전망, 산업 동향 등을 파악하여 기본 지식을 알아둬야 합니다. 경제 뉴스, 금융 매체를 항상 적극 활용하고 시장 동향 파악을 잘하여 투자하려는 기업의 실적과 발전 가능성을 분석해야 합니다. 2. 목표 설정과 자기 분석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수익을 얻을 때도 있지만 잃을 때도 있습니다. 잃게 되면 감정적인 투자를 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지 않기 위해선 자기 분석을 통한 ..

요즘 부업 및 투자로 주식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주식 공부와 주식관련된 책을 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해가 쉽게 되도록 간략하게 주식 기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주식의 버핏지수란? 주식에는 공식이란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딱 하나 적용할 수 있는 공식이 있습니다. 바로 워런 버핏이 극찬한 '버핏 지수'입니다. 버핏 지수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시가총액 비율을 일컫는 말입니다. 워런 버핏이 미국 경제전문지 포천과의 인터뷰에서 '적정한 주가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최고의 단일 척도'라고 평가하면서 버핏 지수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버핏 지수가 100%라면 국내총생산(GDP)와 시가 총액이 같다는 의미입니다. 하나의 나라의 경제와 주식시장의 크기가 같다는 의미 입니다. 버핏 ..